이광희 의원 "경찰청, 역대 치안국장 친일이력 은폐"

IE003323325_STD.jpg

이광희(더불어민주당, 청주서원) 국회의원이 대한민국 경찰의 역사바로세우기를 촉구했다.

17일 이광희 국회의원은 미군정 초대 경무부장을 지낸 조병옥을 비롯, 경찰청 역대 치안국장의 친일경력을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미군정 산하 경찰국 경부부장을 지낸 조병옥은 친일 경찰을 대거 채용해 경찰 조직의 기반을 마련했다.

그는 서북청년단 등 극우단체를 동원해 제주 4·3 사건에서 민간인 학살을 지휘하는 등, 이후 친일 경력자들이 경찰 수뇌부에 포진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김태선, 이익흥, 홍순봉, 문봉제, 김종원 등 역대 치안국장 다수는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조선총독부 관보, 당시 언론 보도를 통해 일제 경찰 경력이 확인된 인물들이다.

이들은 독립운동가 검거·고문, 일본군 지원, 독립군 토벌 등에 가담했으며, 일부는 일제로부터 훈장·표창을 받기도 했다.

IE003524388_STD.jpg

IE003524389_STD.jpg

이광희 의원은 "해방 이후 대한민국 경찰의 최고위직을 지낸 인사들 중 상당수가 일제 순사·고등경찰·간도특설대·일본군 등 친일인사 출신으로 드러났다"며 "그러나 경찰청은 공식 누리집에서 이들의 재임 기간과 사진만 단순 나열하며 친일 행적을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경찰청은 이러한 사실을 외면한 채, 마치 민주적 정통성을 가진 기관처럼 홍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대한민국 정부 경찰의 출발점"을 미군정청 경찰국에서 찾고 있는데, 이는 해방 직후 미군정이 친일 경찰들을 대거 등용해 권력기관을 유지한 사실을 스스로 인정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

그러면서 "국민의 안전을 책임질 경찰 수뇌부가 친일 경찰 출신이라는 사실을 숨기는 것은 역사 왜곡"이라며 "공식 누리집에 재임 기간과 사진만 공개하는 것은 경찰의 정체성을 훼손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또 "충북을 포함한 다수 지방경찰청에서도 친일 경찰 국장들이 확인됐으나, 이 역시 공식 기록에는 관련 설명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경찰청은 이제라도 친일 인사 행적을 체계적으로 조사해 보고서를 발간하고, 경찰사의 출발점을 국민에게 정직하게 설명해야 한다"며, "역사 왜곡과 망각을 경계하고 경찰 조직 스스로가 과거를 바로잡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