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해킹 위약금 면제 여부 촉각…번호이동 시장 또다시 격변?

132728803.1.jpgKT가 지난 9월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해킹 사고를 축소·은폐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위약금 면제 정책 실시 여부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정부 조사 과정에서 KT가 지난해 3월부터 7월까지 ‘BPF도어’ 등 악성코드에 감염된 서버 43대를 발견하고도 정부에 신고하지 않고 자체 조치했던 사실이 확인됐다. 여기에 망 관리 부실로 불법 펨토셀 접속을 방치한 정황까지 추가로 드러났다. 상황이 이렇자 KT를 향한 위약금 면제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시민단체 YMCA는 “KT가 작년에 이와 같은 악성코드 감염 사실을 자진신고하고 투명하게 공개했다면, 올해 발생한 소액결제 피해 및 일련의 사이버 침해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보다 신속히 대응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이러한 사건 은폐 행태는 단순한 실수나 대응 지연이 아닌, 해킹 사실을 숨기고 이용자와 정부를 기만한 불법과 탈법으로 점철된 부도덕한 기업 운영의 결정체”라고 비판했다.이어 “일련의 사태에 적극 책임져야 하며, 전 고객 위약금을 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