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 "오폭 조종사, 세 차례 표적 재확인 절차 미이행"

IE003424345_STD.jpg

공군은 지난 6일 경기도 포천 승진과학화훈련장 인근에서 발생한 KF-16 전투기 오폭 사고 원인이 조종사의 좌표 입력 실수 때문이라고 재확인했다. 조종사들이 폭탄을 투하할 좌표를 잘못 입력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세 번의 기회도 놓쳤다는 것이다. 공군은 또 부대 지휘관들의 지휘·감독도 미흡하다고 판단했다.

공군은 10일 오전 이날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KF-16 전투기 오폭 사고 중간 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이렇게 밝혔다.

공군에 따르면, 사고를 낸 KF-16 전투기 조종사들은 한미 연합합동 통합화력 실사격 훈련 전날인 지난 5일에 실무장 사격을 위한 좌표를 비행임무계획장비(JMPS)에 잘못 입력했다. 1번기 조종사가 표적을 포함한 경로 좌표를 불러주고 2번기 조종사가 JMPS에 입력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표적 좌표를 오입력한 것이다.

해당 조종사들은 군용 WGS84 경·위도 좌표 체계상 위도인 'XX 05.XXX'를 'XX 00.XXX'로 입력하는 실수를 저지르고도 재확인 절차를 거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사고 당일인 6일에도 최소 2차례 재확인 및 수정 기회가 있었지만 조종사들은 이를 놓쳤다.

두 조종사들은 이륙 전 점검 단계에서 잘못된 좌표가 포함된 데이터를 비행임무계획장비에서 비행자료전송장치(DTC)에 저장했는데, 2번기 DTC에는 장비 오류로 인해 데이터가 제대로 저장되지 않았다.

이에 2번기 조종사는 엔진 시동 후 조종석 내에서 수동으로 정확한 표적 좌표를 입력했다. 결과적으로 1번기에는 잘못된 표적 좌표가, 2번기에는 올바른 표적 좌표가 입력된 것이다. 이때도 경로 및 표적 좌표를 재확인했지만, 1번기 조종사는 입력 실수를 알아차리지 못했다.

최종적으로 1번기 조종사는 폭탄 투하를 앞둔 표적 진입지점(Initial Point) 진입 이후 비행경로 등이 이상함을 감지했지만 전투기에 시현된 비행 정보를 믿고 임무를 강행했다.

아울러 정해진 탄착시간(TOT, Time on Target)을 맞추느라 조급해진 나머지 표적을 정확히 육안으로 확인하지 못했음에도 맹목적으로 '표적 확인'이라 통보하고 폭탄을 투하했다.

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