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오늘 물러가지만 제2의 김용태, 제3의 김용태, '개혁을 하겠다'라는 세력들이 함께할 것이다."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임기 마지막 날까지 "탄핵의 강"을 넘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비대위원장 임기가 끝나 한 명의 초선 국회의원으로 돌아가지만, 젊은 의원들과 함께 "앞으로도 당의 개혁을 위해서 더 가열차게 목소리를 내겠다"라고 의지를 다졌다. 특히, 본인은 전당대회에 불참하지만 다가올 전당대회에 "개혁에 대한 방향이라든지 탄핵의 강을 넘을 수 있는 확실한 주자가 있다면 함께 돕겠다"라고 선언했다.
사실상 당내 계파 갈등 사이에서 방향을 잃은 이들의 '세력화'를 도모하며, 차기 전당대회 '캐스팅 보트' 역할을 목표로 삼겠다고 천명한 셈이다. 그는 "국민의힘을 정말 다시 바로잡고 개혁을 해보겠다라는 가치를 공감하는 세력들이 연대해서 계속해서 기득권과 맞서 싸울 것"이라며 "기득권 세력들은 와해될 것"이라고도 자신했다.
"'국민의힘 해체하라'는 말 가장 가슴 아팠다"30일 오전 국회의사당 본관에서 퇴임 기자회견을 연 김용태 비대위원장은 미리 준비한 원고를 통해 "오늘 임기를 마치며 국민과 당원 여러분께 사과와 다짐의 말씀을 드린다"라며 "당이 국민 앞에 지난 불법 계엄사태에 대해 계속 사과를 드리는 것은 앞으로 보수가 다시는 그와 같은 길을 조금이라도 가까이 가지 않겠다는 다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지금 보수야당이 아무리 맞는 말을 해도 국민의 신뢰를 받지 못하는 것은 우리가 윤석열 정권의 유산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라며 "대선 후 비상대책위원장으로서 전국을 다니면서 들었던 가장 가슴 아팠던 말씀은 '국민의힘을 해체하라'라는 말씀이었다"라고 회고했다.
그는 자신이 제시한 5대 개혁안이 좌절되고, 이를 돌파하기 위한 전 당원 투표 역시 가로막혔던 점을 복기하며 "결국 '이 당은 누구의, 누구에 의한, 누구를 위한 당인가?'에 대한 깊은 고민을 하게 됐다"라고 날을 세웠다. "이 당에 오랫동안 자리잡고 있는 깊은 기득권 구조가 있다면, 그리고 그 기득권이 당의 몰락을 가져왔으면서도, 근본적 변화를 가로막고 있다면 국민의힘에 더 이상의 미래는 없다"라는 선언이었다.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사실상 구 주류로 불리는 친윤계 기득권을 겨냥한 셈이다. 김 비대위원장은 "근본적인 반성과 새로운 다짐으로 결연한 뜻을 모아 새로운 보수정당, 따뜻한 보수로 거듭날 때"라며 "지금 저의 역할이 전당대회 출마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다시 백의종군 국회의원으로 돌아가서 동료 선배 의원들의 개혁 의지를 모으겠다"라고 밝혔다.
"기득권과 특권 혁파, 따뜻하고 혁신적인 보수로 가야"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