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의 관세 협상이 타결됐습니다. 주요 내용을 보면 상호 관세와 한국산 자동차의 대미 수출 관세는 15%로 결정되었으며 3500억 달러의 대미 투자도 포함됐습니다. 미국산 자동차는 무관세이고, 쌀과 소고기는 추가로 개방하지 않기로 합의했습니다.
외신은 한미 관세 협상 타결을 두고 한국이 대체로 '선방'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번 합의로 8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었던 상호관세율 25%와 징벌적 조치들을 피할 수 있게 됐다"고 전했습니다.
CNN은 "예정된 25% 관세가 부과됐다면 한국경제에 더 큰 재앙이었을 것"이라면서 "지난 4월부터 미국이 한국과 수십 개 국가에 부과하던 최소 관세율인 10%보다는 높은 수준인 15%"라고 보도했습니다.
<뉴욕타임스>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위협했던 25%보다는 완화된 수준"이라며 "지난 6월 새 정부가 선출되면서 미국과 무역 협상을 재개해야 했던 한국인들에게는 긴 여정이었고, 이재명 대통령은 농산물 시장 같은 어려운 문제를 두고 싸움을 벌여야 했다"고 전했습니다.
미국의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이 대통령은 이번 주에 직접 협상단을 워싱턴 D.C.에 파견해 협상 마무리를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면서 "이번 합의는 이 대통령에게 있어 국내 정치적으로 조기 승리로(an early domestic political victory) 평가된다"고 보도했습니다.
BBC 서울 특파원이 본 '한미 관세 협상'BBC는 진 맥켄지 서울 특파원을 통해 '한미 관세 협상' 소식을 자세하게 전했습니다. 맥켄지 기자는 "이번 주 한국은 관세 협상 타결에 정말 많은 압박을 받았다"면서 "미국은 중국을 제외하고 전 세계에서 한국산 제품을 가장 많이 수입하는 나라이고, 한국은 미국과의 무역에서 막대한 흑자를 내고 있어 이번 협상은 애초부터 굉장히 중요했다"고 말했습니다.
맥켄지 기자는 "지난주에 일본과 유럽연합이 15% 관세 합의를 먼저 성사시켰기 때문에 한국 협상단은 반드시 15% 수준의 조건을 확보해야 했다"라며 "한국이 15% 조건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고 전했습니다.
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