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정부가 국내 자동차 생산량을 세계 5위 수준으로 회복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자동차 업계는 이를 달성하려면 미국 관세 비용을 상쇄할 국내 생산 메리트가 필요하다고 봤다. 대표 업체인 현대자동차(005380)·기아(000270)가 미국의 관세를 우회하기 위해 현지 생산 비중을 높이고 있는 만큼 정부 의지 외에도 기업 지원을 위한 실질적 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15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실 직속 국정기획위원회는 지난 13일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을 발표했다. 국정위는 자동차 산업을 인공지능(AI), 반도체와 함께 3대 주력 산업으로 분류, 글로벌 7위인 국내 자동차 생산량을 2030년까지 5위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계획안에 담았다.작년 韓 생산량 412만대, 7위로 추락…5위 격차 30만대 “불가능한 목표 아냐”국내 자동차 생산은 2020년 글로벌 5위까지 올라갔다 2022년부터 하락세를 보이며 지난해 7위까지 밀려났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