뚜껑이 열리기 전부터 이재명 대통령의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사는 국내외의 큰 관심사가 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한국에서 '광복절 경축사'는 당대 정부의 중요한 대외 정책을 발표하는 중요한 창구이기 때문입니다. 더구나 윤석열의 내란을 진압하고 인수위도 정식 취임식도 없이 등판한 이재명 정권은 그동안 묵직한 대외 정책을 발표할 겨를도 기회도 없었습니다. 이번 광복절 경축사가 대외 정책다운 정책을 발표하는 첫 무대이고, 그래서 관심도 더 뜨거울 수밖에 없었습니다.
한국 정부의 중요한 대북 정책과 대일 정책 발표는 광복절 경축사가 거의 전담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일제의 압박과 고통에서 벗어나 광복의 기쁨을 누릴 틈도 없이 남북 분단의 아픔을 맞이한 쓰라린 경험이, 광복절 경축사에 그런 역할을 자연스럽게 맡겨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광복절 경축사의 역할을 철저히 무시한 윤석열 3년하지만 윤석열 정권은 3년 동안(2022년, 23년, 24년) 광복절 경축사의 이런 역할을 철저하게 무시·외면했습니다. 가장 황당한 일은 일본의 식민 지배에 대한 언급을 의도적으로 피한 것입니다. 보수·진보 가리지 않고 역대 어느 정권의 경축사에서도 전례가 없던 일입니다. 2022년 경축사에서 "보편적 가치를 기반으로 양국의 미래와 시대적 사명을 향해 나아갈 때 과거사 문제도 해결"될 것이라며 과거사를 거론하는 시늉만 하더니, 23년에는 느닷없이 일본을 "우리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파트너"로 끌어올렸습니다. 24년 경축사에서는 아예 일본 관련 내용을 완전히 뺀 채 북한 흡수통일 정책과 국내 반대 세력 공격에만 장광설을 늘어놨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의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사는, 우선 윤석열 정권 때 일탈했던 3번의 경축사를 원래의 자리로 되돌려 놨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습니다. 내란 수괴 윤석열을 몰아낸 빛의 혁명이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입니다. 이 대통령도 그 때문인지 경축사에서 세 번이나 '빛의 혁명'이라는 표현을 쓰며 경의를 표했습니다.
제가 가장 관심을 둔 분야는 일본을 향한 메시지였습니다. 구체적으로 이 대통령이 어느 정도 강도로 일본의 과거 문제를 언급할 것이냐가 매우 궁금했습니다. 한일 양국이 처한 국제 상황과 시점이 미묘했기 때문입니다. 누가 봐도, 지금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거센 안보·경제 압박 공세에 아픔을 공유하는 '동병상련'의 한일 두 나라는 갈등보다는 협력을 택해야 할 상황입니다. 여기에 이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일주일여 뒤인 23일 정상회담을 하기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과거 직시-미래 지혜' 촉구한 절제의 대일 메시지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