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재해 근절' 정부 기조 발맞추는 정명근 "현장 중심 관리가 중요"

IE003523432_STD.jpg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이 이재명 정부의 산업재해 근절 기조에 발맞춰 '현장 중심 관리'를 강조하며 산업안전 대책 마련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정명근 시장은 15일 동탄출장소 대회의실에서 '중대재해 산업안전 및 이주노동자 인권 개선 대책 회의'를 열고 안전하고 공정한 노동 환경 조성을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전국 기초지자체 최초로 '산업안전 지킴이' 제도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는 정 시장은 "중대재해 예방은 무엇보다 현장 중심의 관리가 중요하다"면서 "공공 건설 현장은 물론 민간 사업장과도 협력해 안전사고를 원천 차단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달라"고 지시했다.

이와 관련 이재명 대통령은 중대재해 근절을 위한 심층 토론을 주재하며, 산업재해가 반복 발생하는 기업에는 엄격한 제재와 강력한 처벌을 해야 한다고 거듭 밝혔다. 이 대통령은 지난 7월 29일 국무회의에서 "일하다 죽는 일이 최소화될 수 있기를 바란다"라며 "안전이라는 것은 당연히 해야 할 의무이지 이것을 비용으로 생각해 아껴야겠다고 생각해선 안 된다"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중대재해 예방을 국가적 과제로 삼고, 법·제도적 보완, 강력한 처벌, 책임자 사과 문화 정착, 경제적 제재, 내부 감시 강화 등 여러 방면에서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을 주문하고 있다.

IE003502439_STD.jpg

IE003523430_STD.jpg

"노동자의 생명과 안전은 절대적인 가치"

정명근 시장도 "노동자의 생명과 안전은 절대적인 가치이며 단 한 건의 사고라도 막기 위해 행정 역량을 총동원할 것"이라면서 산업현장 사망 사고를 줄이기 위한 현장 중심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정명근 시장은 이날 회의에서 건설 공사장 등에 대한 중대재해 산업안전 관리 계획에 대한 논의를 심층적으로 진행했다. 특히 관내 건설 공사장 1,549개소 전체를 대상으로 부서장 주도의 자체 점검 및 시 안전정책과 특별 점검을 병행해서 실시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화성특례시는 맨홀 작업, 제설 작업, 폐수 및 하수처리시설, 주택건설 사업장 등 고위험 사업장을 중심으로 특별 점검을 시행한다. 밀폐공간 작업계획서 수립 등 안전계획서 작성 여부, 건축·소방·전기·가스·설비 등 시설 분야 안전조치 여부, 비상 상황 발생 대비 대피로 확보 및 훈련 여부 등을 중점 점검할 예정이다.

화성특례시는 또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보건교육을 확대 운영한다. 오는 9월 30일과 10월 1일 안전보건관리책임자, 각 부서장, 관리감독자, 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중부지방노동청 경기지청 건설산재지도과장이 진행하는 안전보건교육을 운영하며, 민간변호사를 초청해 중대재해처벌법 관련 법률 교육도 추진한다.

IE003523433_STD.jpg

IE003523434_STD.jpg

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