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공격적으로 활동한다."
국회의원 보좌진들은 국내 기업들 중 쿠팡의 대관 활동을 이렇게 평가했다.
입법부·행정부·사법부를 대상으로 활동하는 기업 종사자, 통칭 '대관(對官)'. 여의도 국회 사람들에게 대관 동향을 물으면 자주 등장하는 기업이 있다. 바로 쿠팡과 그 계열사들이다. 서로 다른 법인들이지만 보좌진들은 쿠팡과 계열사 대관을 아울러 '쿠팡 대관'으로 통칭한다.
이들은 특히 이재명 정부 들어 대관 인원을 크게 늘려 국회의원실과의 관계 형성에 매진하고 있다는 평가다.
대관 인력 확충한 쿠팡의 공격적 행보...설립 14년만에 연매출 40조국회서 기업 이름이 거론되는 경우는 보통 '안 좋은 일'이 생겼을 때다. 노동자의 사망이라든가 개인정보 유출 사고 등이 터졌을 때 기업 이름이 오르내린다.
국회에는 수많은 기업의 대관들이 활동 하지만, 몸집이 커진 쿠팡과 계열사는 최근 자주 호명되는 기업 중 하나다. 물류센터의 열악한 노동환경, 택배 노동자 과로사, 온라인쇼핑 시장 독과점 등 논란은 국회 단골메뉴다. 올해 국정감사에선 쿠팡 일용직 노동자 퇴직금 미지급 사건 수사 무마 의혹이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에서 이슈로 떠올랐다. 이 주제는 검찰과 쿠팡의 유착 의혹과 맞물려 향후 법제사법위원회에서도 다뤄질 전망이다.
이런 이유들로 인해 쿠팡과 계열사들은 정부·국회 대응 능력을 높이기 위한 인물 영입에 적극적이다. 언론보도를 종합하면 쿠팡은 올해 초 삼성전자에서 대관 업무를 맡았던 민병기 부사장을 영입해 대관 조직 총괄을 맡겼다. 또한 전직 환경부 정책보좌관, 국회 보좌진 출신, 언론사 출신을 임원급 인사로 들였다.
전직 국회 보좌진 출신으로 다른 기업에서 대관 업무를 맡고 있는 A씨는 "'쿠팡이 사람 많이 뽑았대, 아무개도 갔대' 하는 말이 요즘 국회에서 자주 들린다"면서 "인원이 상당히 많이 늘어난 것 같다"라고 귀띔했다.
이같은 대관 조직 확대 이유는 쿠팡과 계열사들의 사업 영역이 점점 넓어지면서 상당수 국회 상임위원회의 감시 범위에 들어가게 되면서이기도 하다. 쿠팡은 2010년 자본금 30억 원으로 설립된 지 14년 만에 연 매출 40조 원을 넘겼다(2024년 모회사 쿠팡Inc 기준). 2021년 미국 뉴욕 증시에 상장하면서 연 매출 20조 원을 돌파했는데 불과 3년여 만에 매출이 2배 이상 뛴 것.
재계 서열 27위인 쿠팡(자산총액 약 17조 6260억 원) 계열사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 쿠팡 물류센터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쿠팡풀필먼트서비스(쿠팡CFS), 쿠팡 물건을 배송하는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쿠팡CLS), 음식배달 관련 상점주-라이더 운영을 지원하는 쿠팡이츠서비스(쿠팡CES), 동영상 스트리밍서비스 쿠팡플레이, 쿠팡 자체개발상품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CPLB까지.
현직 보좌진 B씨는 "쿠팡 연관 국회 상임위는 점점 늘어나는 추세"라며 "최근 이슈와 연관된 상임위는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정무위원회 정도인데 농해수위(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산물 판매 수수료 관련)도 연관될 수 있다"라고 짚었다.
확충된 인력의 연봉과 법인카드 비용까지 더하면 수십억 원이 대관 운영에 들어갈 것이라는 계산도 나온다. 기업의 규모와 직급에 따라 상이하지만 쿠팡을 포함한 여러 대관들의 법인카드는 월 100만~500만 원 선이라고 한다.
대관의 힘은 '인맥'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