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를 혐오가 아니라고 우기는 국힘, '조선일보' 말이라도 들어라

IE003535444_STD.jpg

혐오를 하면서 본인이 '나는 ~을 혐오한다'고 인정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대개는 '본인의 혐오는 혐오가 아니라, 타당한 이유가 있는 것'이라고 정당화한다. 그렇게 '혐오가 아닌 척' 하는 혐오들이 대한민국 사회에서는 차고 넘친다. 말끝마다 '충'을 붙이는 벌레의 나라답게, 온갖 계층이 온갖 이유로 혐오의 대상이 된다.

정치의 영역도 예외는 아니다. 공당조차도 당당하게 '혐오'를 전시하며 선전·선동에 이용하는 형국이다. 심지어 '혐오'라는 비판을 들어도, 이를 겸허히 수용하고 정정하기는커녕 '혐오가 아니다'라고 악을 쓰는 모양새이다.

"불공정을 바로잡자고 하면 민주당은 당장 '괴담'이라고 외친다. 왜 우리 세금으로 중국인을 지켜주는가. 또 '내가 낸 보험료가 중국인에게 간다니 허탈하다'라는 국민의 목소리는 민주당의 혐오 메들리에 묻혀 버린다." - 김은혜 국민의힘 원내정책수석부대표

"국민의힘이 추진하는 건강보험 상호주의는 국민을 보호하자는 목적이다. 우리가 외국인을 지원할 테니, 당신 국가도 우리 국민의 건강을 지켜달라는 것이다. 여기에 무슨 혐오가 있는가." - 김미애 국민의힘 보건복지위원회 간사

지난 17일, 당 국정감사 대책회의에서 쏟아진 발언들이다. 정통 보수 정당을 표방하는 제1야당은 '상호주의'를 전가의 보도 삼아 '혐중'의 깃발을 휘날리고 있다.

국민의힘, '혐중'의 유구한 역사

새삼스러운 일은 아니다. 국민의힘의 '혐중'은 그 역사가 무구하다. '상호주의'를 빌미로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의 투표권 제한부터 중국인 관광객 입국 제한까지 다양하게 언급해 왔다. 선거와 같은 민감한 국면을 앞에 두거나, 당 지지율 등 전반적인 상황이 위기에 처해 있을 때 반복한 레퍼토리이다.

가까이는 '일간베스트' 등 극단적인 성향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부터 시작해 퍼지게 된 '가짜뉴스(허위조작정보)'를 그대로 본인의 SNS에 올렸던 박수영 국회의원의 사례가 있다. 멀게는 지난 경기도지사 선거에서 낙선한 김은혜 당시 후보가 똑같이 '중국인 투표권 제한'을 꺼내 들었다. 계파도 가리지 않는다. '상호주의'라는 명분을 활용해 중국을 겨냥한 것은 '친한계'의 수장인 한동훈 전 대표나, '친윤계'의 지원을 받았다가 물갈이 된 김기현 전 대표나 마찬가지였다.

선전·선동은 쉽고, 팩트체크와 반박은 어렵다. 지방선거에 한해 조건을 갖춘 외국인들에게 투표권을 부여한 이유가 무엇인지, 투표권을 획득한 외국인이 어느 정도 규모인지, 그 외국인 중 실제 투표에 참여하는 비율은 어느 정도인지, 그래서 중국인들이 국내 선거에 개입해서 민주당에 투표한다는 '괴담'이 왜 사실이 아닌지 증명하는 것은 지난하다(관련 기사: "김동연 당선은 '조선족' 투표 때문에?" <머투> 기사 왜 삭제됐나).

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