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의 숨소리까지 듣는다', 이재준의 '즉문즉답' 흥행몰이

IE003544439_STD.jpg

"봉담과천간고속화도로 옆 서수원레이크푸르지오 방음벽이 너무 부실해서 소음에 시달리고 있어요."
"청소년들이 이용할 수 있는 복합문화시설이 꼭 필요합니다."
"우리 동네가 교통이 상당히 불편해요. (중학교가 없어서) 중학교 진학을 정자동이나 천천동으로 가는데, 그쪽으로 (가는) 버스 노선이 없어요."

지난 9월 19일 수원시 입북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열린 '2025 새빛만남- 수원, 마음을 듣다'에서 시민들이 이재준 수원시장에게 쏟아낸 질문과 제안들이다. 이재준 시장이 형식 구애받지 않고 시민에게 바짝 다가가 자유롭게 즉문즉답을 벌이자, 현장은 금세 뜨거운 열기로 휩싸였다.

이재준 시장이 모든 동(44개)을 방문해 시민들을 만나 시정 계획을 설명하고, 대화를 나누는 '2025 새빛만남'이 기존 새빛만남과 확 달라진 방식으로 시민들의 참여를 끌어내면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틀에 박힌 '주민 설명회' 탈피한 '2025 새빛만남'... 참여자도 다양해져

지난 9월 8일 매교동에서 시작한 '2025 새빛만남'은 4일 오전 인계동 새빛만남으로 29번째를 맞았다. 이날 수원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새빛만남에 참석한 주민 120명까지 포함하면 지금까지 3,000명이 넘는 주민들이 이재준 시장을 만나기 위해 새빛만남을 찾았다.

IE003544438_STD.jpg

무엇보다 '2025 새빛만남'은 이재준 시장과 주민들의 물리적, 심리적 거리를 한결 가깝게 좁혔다는 점이 눈에 띈다. 지난해에는 권역별로 3~6개 동을 묶어 체육관, 공연장 등 넓은 장소에서 새빛만남을 진행하다 보니, 이 시장과 주민 간에 대화의 거리가 멀었다. 그러나 올해는 44개 동으로 쪼개서 골목골목을 찾아가 동별로 주민들을 만났다. 이 시장과 주민이 직접 얼굴을 마주 보고 대화하는 방식을 취하면서 숨소리마저 느끼게 한 것이다.

틀에 박힌 '주민 설명회'를 탈피해 실질적인 '대화의 장'이 마련되면서 관심을 두고 찾아오는 참석자들도 다양해졌다. 동 단체원뿐 아니라 학부모, 대학생, 청소년, 공동주택 입주자 대표, 어린이집 원장, 초중고등학교 교장, 다문화 가족 등 다양한 계층이 새빛만남을 통해 이 시장을 만나고 있다.

특히 어른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두드러진다. 지난달 21일 영흥수목원에서 열린 영통1동 새빛만남에서는 청명고 학생 30여 명과 아주대학교 학생 등 청소년들이 참여해 의견을 냈다. 한 청명고 학생은 "청명고 학생들은 영흥수목원을 무료로 입장하게 해 주셨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지난달 24일 열린 송죽동 새빛만남에서도 송원중, 천천고 학생들이 함께해 청소년들이 바라는 정책을 주문했다.

주민이 묻고, 이재준 시장이 답하는 '즉문즉답' 형식

'2025 새빛만남'은 주민이 묻고 이재준 시장이 답하는 '즉문즉답' 형식을 취했다는 점도 큰 특징이다. 우선 이 시장이 시정 계획, 각 동의 마을 계획을 간결하게 소개한 후 사회자가 돼 주민들에게 다가가 대화를 나눈다. 정해진 질문 내용이나 형식은 따로 없다. 이재준 시장이 마이크를 들고, 객석을 돌아다니며 손을 든 주민을 지목해 질문이나 제안을 받는다.

IE003544441_STD.jpg

IE003544440_STD.jpg

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