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6월 3일 치러지는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7개월 앞두고 대구에서 '시민이 전면에 서는 선거를 해보자'는 제안에 나왔다.
대구참여연대와 대구경실련이 공동 주최한 지방선거 집담회 '2026 지방선거 어떻게 할 것인가?-시민정치와 연대연합 모색을 위하여' 토론회가 시민단체와 지역 정당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4일 오후 공간7549에서 열렸다.
정파·조직·세대를 넘어서는 '공동 대응 구조'를 만들어야이날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대구가 보수의 섬으로 남는 건 활동가가 없어서가 아니라 선거 때마다 각자 따로 움직였기 때문"이라며 "정파·조직·세대를 넘어서는 '공동 대응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모두발언에 나선 남은주 전 대구여성회 대표는 시민사회가 1987년 이후 운동의 밀도에 비해 정치적 성과를 만들어낸 경험이 거의 없다며 "기존 상설연대체가 각자의 이야기를 공유하는 수준에 머물렀다"고 평가했다.
남 대표는 "대구에는 열심히 하는 사람이 정말 많지만 지역의 정치적 변화에 전면적으로 밎븥어보자는 시도가 거의 없었다"며 "이번에는 정파, 조직, 인맥, 세대, 성별을 떠나 '지방선거 대응 시민연대기구'를 한 번 만들어 보자"고 제안했다.
그는 "연대기구가 시장·시의원·구청장·구의원·교육감 선거까지 아우르면서 '운동이 아니라 시민이 이해하는 언어로' 공동가치와 원칙을 제시해야 한다"며 "온라인 중심으로 좁아진 연대 소통구조를 다시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소영 대구대 사회학과 교수는 "이제는 누가 더 옳은가를 겨루는 단계가 아니라 흩어진 역량을 다시 묶어낼 정치적 연결을 해야 할 때"라며 남 전 대표의 제안에 동의했다.
이 교수는 "대구가 여전히 국민의힘이 지배하는 지역이지만 생활 만족도와 정치 만족도가 맞지 않는 '불만의 층'이 분명히 존재한다"며 "이들을 겨냥한 공동 의제화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이번 선거 하나로 다 바꾸자는 욕심으로 접근하면 또다시 좌절하게 될 것"이라며 "느슨하더라도 시민사회·정당·청년·언론이 들어올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고 그 플랫폼 이름으로 대표적인 시민 의제를 던진다면 희망의 가능성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내란이냐, 이재명이냐는 포맷으로는 또다시 망해... 시민 주도 단일 플랫폼 시도하자"조명래 대구사회연대노동자포럼 대표는 수십 년간의 선거 통계를 근거로 제시하며 기존 정당 포맷만으로는 대구에서 30%의 벽을 넘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