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주권전국회의 "12월 4일을 '주권자의 날'로 제정하라"

IE003550594_STD.jpg

풀뿌리 시민주권운동을 표방하며 지난 3월 15일 출범한 국민주권전국회의(약칭 '주권회의')가 19일 오후 국회 헌정회 대회의실에서 전국 핵심간부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워크숍을 열고, 정치권을 향해 "12월 4일을 '주권자의 날'로 제정하고 국민주권위원회를 설치하라"고 촉구했다.

이번 워크숍은 내부 논의를 통해 확정된 '국민주권 강화' 활동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첫 공식 일정으로, 21대 대선 이후 조직의 향후 활동 방향을 구체화하는 자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IE003550595_STD.jpg

행사는 이동진 국민주권전국회의 상임대표의 인사말과 참가자 소개로 시작됐다. 이동진 대표는 "대선 승리 이후 국민주권을 제도적으로 확립해야 한다는 요구가 더욱 커지고 있다"며 "우리 국민주권전국회의 역시 국민이 국가의 주인이 되는 진정한 국민주권 시대를 열기 위해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전국에서 참석한 광역·기초 지역대표, 직능대표, 지역 사무국장들을 소개했다. 참가자 중에는 2026년 지방선거 출마를 준비하는 예비 주자들도 상당수 포함돼 향후 활동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여주었다.

IE003550596_STD.jpg

다음으로 이래경 국민주권전국회의 상임의장이 기조 강연을 진행했다. 그는 "오늘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두 가지다. 우리의 상황을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와 국민 주권적 개념으로 이 상황을 어떻게 돌파할 것인가"라고 말했다.

이 상임의장은 "내란이 발생한 지 1년이 다 되어 가지만 내란 세력에 대한 청산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우리는 복잡하고 중층적인 과도기적 상황에 처해 있으며, 내란의 여진 속에 매우 불안정한 상태"라고 평가했다. 이어 "이런 상황을 이재명 정부 혼자 돌파하기는 어렵다. 반드시 주권자와 결합해야 '역사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민주권 실현을 위한 구체적 방향도 제시했다. "국민주권을 제대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국민주권의 일상화·규범화·제도화·법제화가 필요하다. 그리하여 국민이 참여하는 개헌으로 국민발안·국민소환제를 도입하고 국민주권위원회를 설치해야 하며 시민의회를 도입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