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 사태가 발생한 지 어느덧 1년이 다 되어갑니다. 대한민국 헌정사에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긴 그날을 앞두고, 여의도의 시선은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의 입에 쏠리고 있습니다.
공교롭게도 장 대표의 취임 100일은 12.3 비상계엄 1주년인 12월 3일입니다. 통상 당 대표가 취임 100일 기자회견을 갖는 관례에 비추어 볼 때, 그가 이 자리에서 계엄 사태에 대해 고개를 숙일지, 무엇보다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정치적 절연'을 선언할지가 초미의 관심사입니다.
하지만 국민의힘 내부 기류를 살펴보면 진정성 있는 사과나 명확한 절연 선언은 쉽지 않아 보입니다. 일각에선 국민의힘 지도부가 소위 '집토끼'라 불리는 극우 강성 지지층 챙기기에만 급급하다는 지적마저 나옵니다.
장동혁 "고개 숙이면 목 부러뜨릴 것"… 지도부의 피해의식현재 국민의힘 지도부와 친윤(친윤석열)계 인사들은 '사과 불가론' 혹은 '신중론'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자존심 문제가 아닌, 여당인 민주당에 대한 극도의 불신과 피해의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입니다.
장동혁 대표는 지난 25일 경북 구미 박정희 전 대통령 생가를 방문한 뒤 기자들과 만나 사과 필요성에 대해 "지금 말씀드릴 단계는 아닌 것 같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특히 장 대표는 이후 열린 전국원외당협위원장 워크숍에서 "우리가 고개를 숙이면 고개를 부러뜨리고, 허리를 숙이면 허리를 부러뜨리고, 엎드리면 땅에 짓이기는 게 민주당"이라며 "이 싸움을 끝내려면 (민주당을) 우리의 싸움터로 끌어와야 한다"고 격앙된 반응을 보였습니다.
송언석 원내대표 역시 말을 아끼는 모습입니다. 송 원내대표는 당내 사과 요구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그 부분은 오늘 별도로 말씀을 안 드리는 게 좋을 것 같다"며 즉답을 피했습니다. 그는 "다양한 루트를 통해서 여러 얘기를 듣고 있다는 점만 말씀드리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스팔트 세력이 부끄럽나?"… 구미서 쏟아낸 강성 발언장 대표의 이런 인식은 25일 오후 구미역 광장에서 열린 '민생회복 법치수호 경북 국민대회'에서 더욱 적나라하게 드러났습니다. 이날 집회는 사과나 반성보다는 '결집'과 '투쟁'을 위한 자리였습니다.
단상에 오른 장 대표는 지지자들을 향해 "자녀들의 미래를 위해 소리치는 것을 두고 '아스팔트 세력'이라 손가락질당하는 것은 부끄러운 게 아니다"라며 "나라가 쓰러져가는데도 한마디도 하지 못하는 것이야말로 부끄러운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이어 "이재명 정권은 우리의 행복을 파괴하고, 목숨처럼 생각하는 자유조차 갖지 못하게 하는 정권"이라며 "박정희 대통령과 함께 '한강의 기적'을 이뤄냈던 것처럼, 우리가 다시 힘을 모아 '국민의 기적'을 만들어야 한다"고 호소했습니다.
이는 사실상 '태극기 부대'로 불리는 강성 지지층을 '아스팔트 애국 세력'으로 치켜세우며, 중도 확장보다는 전통적 지지 기반인 TK(대구·경북) 결집에 올인하겠다는 선언과 다름없습니다.
김민수 최고위원 "이재명 대통령 앉혀서 죄송"… 사과 요구 조롱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