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충재 칼럼] "우리가 윤석열", 그게 부끄러운 것

IE003553911_STD.jpg

예상대로 국민의힘이 27일 추경호 의원 체포동의안 표결에 불참했다. 특검 수사가 부당하다고 여긴다면 당당히 표결에 참석해 부결표를 던지는 게 맞았다. 자신은 떳떳하다며 불체포특권 포기를 공언하던 추 의원도 표결에 응하지 않았다. 다수당의 횡표에 맞선 정당한 행위라고 포장하기엔 낯뜨겁다. 지난해 12월 3일 불법 비상계엄 해제 국회 표결에 대다수 국민의힘 의원이 참석하지 않은 게 윤석열의 지시에 따른 것임을 인정하는 꼴이다.

추 의원 구속 여부 결정이 하필이면 '비상계엄 1년'을 눈앞에 둔 시점이다. 계엄 이슈를 피해가려 해도 피할 수 없게 됐다. 이제부터 일주일 간 국민의힘은 매일 계엄과 내란, 윤석열에 대한 질문을 받게 될 것이다. 온갖 모호하고 두루뭉술한 수사를 동원해 위기를 넘기려 하겠지만 그럴수록 깊은 늪으로 빠져들어갈 수밖에 없다.

장동혁 대표부터 곤혹스런 처지에 놓였다. 비상계엄 1년을 맞아 메시지를 발표하겠다고 예고는 해놨는데, 도무지 밑그림이 그려지지 않는다. 추 의원 영장이 기각되면 더 강력한 대여 투쟁 돌입을 선언하고, 발부되면 사과하는 시늉이라도 해야 하는 터다. 촉박한 일정을 감안하면 자칫 두 개의 성명서를 준비해야 할지도 모른다.

장 대표는 속을 끓이겠지만 정작 국민 절대 다수는 무관심하다. 어차피 국민의힘이 돌변해서 "윤석열과 절연하겠다"고 나설 일은 없겠어서다. 이미 내년 지방선거까지 당이 지향할 방향은 분명해졌다. 강성 지지층을 최대한 결집해 세를 공고화한 뒤 중도층 공략에 나선다는 거다. 야심차게 기획한 장외 집회 장소가 TK·PK 등 보수세가 강한 지역을 중심으로 짜인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