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아파트 가격이 올 들어 8월까지 평균 5.05% 상승한 반면, 지방은 같은 기간 -1.21% 하락해 지역별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현재 서울은 만성적 공급 부족, 재건축 기대감, 실수요와 투자 자금의 유입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서울 아파트 시장은 ‘똘똘한 한 채’ 선호가 강해지며 매수세가 꾸준히 유입되고 있다. 특히 실수요와 투자수요가 동시에 몰리며 상승 폭이 확대되고 있다. 9월 2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0.09%로 전주(0.08%)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강남(0.09%→0.15%), 서초(0.13%→0.14%), 용산(0.13%→0.14%) 등 주요 지역 모두 상승세를 키웠다.반면 지방은 미분양 주택 누적과 경기 부진으로 수요 기반이 약화되고, 집값 하락세도 심화되면서 시장 침체가 두드러진다. 7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 2244가구, 그중 80%에 달하는 4만 8961가구가 지방에 집중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