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AI)이 만들어 내는 가짜 논문을 잡기 위해 탐지 AI를 자체적으로 개발했습니다. 가짜 논문처럼 AI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도 많지만 ‘네이처’는 여전히 AI가 연구의 창의성을 높이고 논문 출판의 효율성과 형평성을 가져다 주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믿습니다.” 15일 서울 송파구에서 만난 세계적인 출판사 ‘스프링거 네이처’의 마르크 슈펜레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최근 학계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AI 가짜 논문에 대한 네이처의 대응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그는 AI의 등장 이후 ‘격동의 시기’를 지나고 있는 학계 상황을 국내 연구자들과 논의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했다. 올해 두 번째로 열리는 ‘한국 연구 자문 포럼(KRAF)’의 이번 주제는 ‘AI와 출판’이다. ● AI로 논문 찍어내는 ‘논문 공장’… 탐지 AI로 맞선다 여전히 많은 나라가 논문 수로 연구자의 실력을 평가하기 때문에 AI의 등장 이후 중국과 러시아를 중심으로 조직적으로 가짜 논문을 쏟아내는 ‘논문 공장’(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