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당 ‘현물 복지’ 年 924만원… 소득의 13% 차지

정부와 비영리단체가 무상의료와 보육 등 가구에 현물로 제공하는 복지 혜택이 연간 924만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연간 가구 소득의 약 13%에 해당한다. 인구 고령화로 인해 의료 부문의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학령 인구 감소로 교육 부문의 현물 혜택 수준은 줄었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사회적 현물이전을 반영한 소득통계 작성 결과’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사회적 현물이전 소득(현물 복지 소득)은 가구 평균 924만 원으로 전년(923만 원) 대비 0.1% 늘었다. 현물 복지 소득은 국가가 제공하는 무상 교육 및 보육이나 비영리단체가 무상으로 나눠 주는 생필품 등을 경제적 가치로 환산한 것을 뜻한다. 현물 복지 소득의 가구 소득(연 평균 7185만 원) 대비 비중은 12.9%로 조사됐다. 매년 가구 소득의 8분의 1 정도를 국가나 비영리단체가 현물로 대신 지출해주고 있다는 의미다. 분야별로는 의료 부문이 472만 원으로 가장 컸고 교육(392만 원), 보육(35만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