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관세 예고에도 느긋한 인도… “中견제 핵심국, 협상서 유리”
다음 달 1일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를 앞두고 26%의 관세를 통보받은 인도는 한국 등과 달리 협상을 서두르지 않고 있다. 인도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을 견제할 수 있는 핵심 국가로, 대미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 있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26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미국과 인도 간 무역협상이 다음 달 1일이라는 기한 내 타결될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보인다”며 인도가 자국 농민 보호를 위해 미국의 농산물 시장 개방 요구를 거부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인도는 대미 협상에서 시한에 얽매이지 않겠다며 자신감을 드러내고 있다. 피유시 고얄 인도 상공부 장관은 24일 CNBC 인터뷰에서 “시한에 얽매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양국 모두에 공정한 협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인도가 이처럼 느긋한 건 미국의 대중 견제에 있어 자국이 핵심임을 알고 있어서다. 사메프 샤스트리 브릭스(BRICS) 상공회의소 부소장은 CNBC에 “미국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인도를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