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말 한국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를 넘어서면서 ‘초고령사회’라는 달갑지 않은 타이틀을 얻었다. 2018년 고령사회에 들어선 지 7년 만에 초고령사회의 문을 열게 된 것이다. 노후가 많은 이에게 현실로 다가오고 있는데 과연 우리 사회는 노후를 제대로 준비하고 있을까. 노후를 대비할 수 있는 안전망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자. 우선 1년 이상 근속한 근로자라면 계속근로기간 1년에 대해 30일분 이상의 평균 임금을 받을 수 있는 ‘퇴직금’이 있다. 퇴직금은 일시금과 연금 형태로 수령 가능한데 대다수의 퇴직자가 일시금으로 수령하고 있다는 점이 문제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퇴직연금 개시 계좌 중 연금 형태로 수령하는 비율은 10.4%에 불과했다. 국민연금만으로는 근로자 때의 소득을 대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퇴직금을 연금으로 받아야 안정적인 노후 소득을 마련할 수 있다. 연금 형태로 수령하면 일시금에 비해 수령 기간에 따라 30∼40% 절세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