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에 美국채 금리 요동… 韓국채 시장도 확장재정이 변수
금리 인하 국면이 시작될 것이란 기대감에 투자자들의 자금이 채권으로 몰리고 있지만 대표 안전자산인 국채의 위상은 흔들리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미 국채 금리는 요동쳤다. 이재명 정부가 확장재정에 나서면서 그에 따른 국채 추가 발행이 예고되는 점도 채권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19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16일 기준 한국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미국 채권은 총 187억6061만 달러에 이른다. 지난해 말 113억166만 달러의 미국 채권을 보유하고 있었던 것을 감안하면 반년도 채 되지 않아 74억5895만 달러(66.0%)가 증가했다. ‘서학개미’들은 4월부터 이달 17일까지 만기가 20년 이상 남은 미 국채로 구성된 상장지수펀드(ETF·TLT)도 1억6012만 달러어치 사들였다. 투자자들의 자금이 쏠린 건 물가가 안정되면 경기 부양을 위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등 금리 인하 국면이 시작될 것이란 기대감이 커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