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농어촌공사는 7일 농업용수의 수질 보호를 위해 ‘선제적 녹조 대응’ 체계를 운영하며 안정적인 물 공급에 나선다고 밝혔다.최근 폭염으로 수온이 상승하면서 농업용 저수지에서 녹조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고 한다. 저수지의 정체된 물 흐름은 녹조 확산을 가속화할 가능성이 크다.공사는 녹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예찰과 제거를 포함한 대응 체계를 가동한다. 6월부터 8월까지를 ‘녹조 예찰 강화 기간’으로 지정해 전국 354개 저수지를 대상으로 월 2회 이상 현장 모니터링을 진행한다.90개 주요 저수지에는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설치해 수온, 탁도, 오염도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며 녹조 발생 징후를 조기에 파악한다.녹조가 확인될 경우 ‘관심-주의-경계-심각’ 4단계로 구분해 대응한다. 단계별로 녹조 제거제를 살포하고, 녹조 제거선과 조류 차단막을 활용해 조류 번식을 억제한다.김이부 환경관리처장은 “녹조로 인한 수질오염을 줄이고 깨끗한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주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