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관세 협상이 관세 유예 시한인 다음 달 1일까지 타결되지 못하고 25%의 상호관세가 발효되면 한국 주력 수출산업의 경쟁력이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앞서 미국의 관세 조치가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을 최대 0.4% 끌어내릴 것이란 관측이 나왔는데, 수출 주요 품목에서 경합 중인 일본의 관세율이 15%로 낮아졌음을 고려하면 더 큰 타격이 불가피하다. 한국은행이 5월 전망했던 올해 0.8% 성장조차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란 의미다. ● 관세 협상 불발 땐 GDP 9조 원+α 증발27일 관계당국에 따르면 한국 정부가 대미 관세 협상에 실패하면 ‘회복 불가능한 구조적인 손실’을 입게 될 것이란 분석이 제기된다. 앞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지난달 30일 한미 관세 협의 관련 공청회에서 “미국의 관세 정책이 그대로 강행되면 한국 경제가 안정을 회복한다고 해도 실질 GDP가 0.3∼0.4% 감소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지난해 한국의 실질 GDP(약 2292조 원)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