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투자처 정하면 日처럼 45일내 돈 보내라” 韓 “국익이 우선”

132380242.1.png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11일(현지 시간) 미국의 요구가 반영된 관세 합의문에 서명하지 않으면 관세를 25%로 다시 올리겠다고 위협하면서 7월 30일 관세협상 타결로 일단락됐던 한미 간 관세 갈등이 재점화되고 있다. 미 이민 당국의 한국인 대규모 구금 사태가 마무리되자마자 관세 복원 카드까지 꺼내 들며 고강도 압박에 나선 것이다. 다만 대통령실은 미국이 전적으로 투자처를 지정하면 한국이 현금을 지급하고, 투자 수익의 90%를 미국이 가져가는 요구 수준이 합리성·공정성에 어긋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전날 기자회견에서 “이익이 되지 않는 사인을 왜 하느냐”며 미국 요구에 선을 그은 데 이어 미 고위 당국자 위협에도 물러설 뜻이 없음을 재확인한 셈이다. 3500억 달러(약 486조 원) 규모의 대미(對美) 투자 펀드를 둘러싼 한미 간 간극이 좀처럼 좁혀지지 않고 있는 가운데 한미 간 줄다리기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정부 내부에선 관세 합의 지연으로 자동차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