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2.8% 오를때 의식주 4.6% 뛰었다

최근 5년 동안 전기요금, 장바구니, 아파트 관리비 등 의식주 관련 물가 상승률이 전체 소비자 물가 상승률보다 연 2%포인트 가까이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의식주 물가가 고공행진을 계속하면서 서민들의 체감 물가 부담이 더 컸다는 분석이 나온다. 16일 한국경제인협회가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에게 의뢰한 ‘민생물가 상승 요인 분석 및 대책’ 보고서에 따르면 2019∼2024년 의식주 물가는 연평균 4.6%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2.8%)을 연간 1.8%포인트 웃돌았다. 의식주 중에서도 주거 관련 물가 상승률이 연 5.5%로 가장 가파르게 상승했는데,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인한 전기·가스 등 에너지 요금(연평균 7.0%) 상승 여파가 컸다. 목재와 시멘트 등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주거시설 유지와 보수에 필요한 비용도 늘었다. 이로 인해 공동주택 관리비는 최근 5년 새 약 33% 이상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 평형’으로 불리는 전용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