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의 차량용 반도체 업체 ‘넥스페리아’ 수출 통제로 글로벌 자동차 업계의 생산 중단이 현실화하고 있다. 네덜란드와 중국, 미국 정부가 얽힌 지정학적 갈등 속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당시와 같은 글로벌 자동차 공급망 붕괴가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8일(현지 시간) 미국 자동차 전문매체 오토모티브뉴스와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에 따르면 혼다는 27일부터 캐나다 온타리오주 앨리스턴 공장을 포함한 북미 전역의 대량 생산 공장에서 생산 감축 및 중단 조치를 시행했다. 특히 북미 시장에서 인기가 높은 준중형 세단 시빅과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CR-V를 생산하는 앨리스턴 공장은 단계적 감산에 들어갔다. 이 공장은 이번 주 생산량을 절반 수준으로 줄인 뒤 다음 주에는 5일간 가동을 완전히 중단할 예정이다. 북미에 이어 유럽 자동차 업계도 위기에 직면했다. 독일 폭스바겐은 29일부터 볼프스부르크 공장에서 콤팩트 해치백 ‘골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