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간 인공지능(AI)을 많이 사용한 업종에서 청년 일자리 21만 개 이상이 사라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라진 일자리는 대부분 AI 노출도가 높은 직업군이었다. 반면 50대 일자리가 비슷한 규모로 늘었는데, 70%는 AI에 많이 노출된 업종이었다. AI가 단순 업무를 빠르게 대체하면서 ‘주니어 채용은 줄고 시니어 채용은 느는’ 연공 편향 현상이 국내 노동시장에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 과거 산업혁명, 정보화 혁명 시기에 기술 발전이 생산성 향상과 노동 시장 재편을 이끌었던 것과 유사한 모습이다.● 3년 새 AI 노출 청년 일자리 21만 개 줄어 한국은행이 최근 발간한 보고서 ‘AI 확산과 청년 고용 위축―연공 편향 기술 변화를 중심으로’에 따르면 챗GPT 등장 직전인 2022년 7월부터 2025년 7월까지 3년간 15∼29세 일자리는 21만1000개 감소했다. 감소한 청년 일자리 98.6%는 AI 노출도가 높은 산업에서 발생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컴퓨터 프로그래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