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경영진 보수, 어떻게?한국의 최고경영자(CEO) 보상 구조를 보면 미국 영국보다 보수가 낮고 성과 연동성이 약하다. 미국 영국에서는 스톡옵션이나 양도제한조건부주식과 같은 장기 인센티브가 경영자 보상의 상당 부분을 차지해 보수가 기업가치 상승과 긴밀히 연결된다. 이에 반해 한국은 여전히 기본급 중심이라 성과와 보상의 민감도가 낮고, 특히 지배주주 경영자의 보수는 성과와 덜 연동되는 경향이 있다. 경영자 보수를 공시하는 제도가 도입됐으나 공시 내용이 천편일률적이고 추상적이어서 이해관계자가 면밀히 감시하기 어렵다. 한국 기업들도 성과와 보수를 긴밀하게 연결하고 투명한 공시를 통해 소액주주나 사외이사·이사회가 적극적으로 감시와 의사 결정에 참여하도록 해야 한다. 법 개정 후 이사회 운영 전략상법 개정으로 이사의 충실 의무가 주주 전체로 확대되면서 ‘이사회 중심 경영 모델’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제도적 장치가 이사회 기능의 강화를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이사회가 실패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