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전기차 수요 급증에 ‘MLCC’도 품귀…삼성전기 공장 가동률은 99%

132828670.1.jpg‘전자산업의 쌀’로 불리는 적층세라믹커패시터(MLCC)가 반도체에 이어 슈퍼사이클(초호황) 초입에 들어섰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인공지능(AI) 서버, 전장, 5G 인프라 수요 증가로 MLCC 수요가 확대되면서, 주요 제조사들의 실적 전망치가 상향 조정되고 있다.●시장 전망 밝고 주요 업체 실적 ‘쑥쑥’24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마켓츠앤마켓츠에 따르면, MLCC 시장은 2025년 150억 달러에서 2030년 219억3000만 달러로 확대되며 연평균 7.9%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글로벌 MLCC 시장은 일본 무라타제작소가 약 40%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삼성전기가 20%대로 2위 자리를 유지하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중국 업체들은 스마트폰과 가전 중심의 범용 MLCC 생산에 집중하고 있는 반면, 전장용이나 AI 서버용 고부가가치 제품은 무라타와 삼성전기가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다.지난달 2025 회계연도 2분기(4월~9월) 실적 발표에서 일본 무라타제작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