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은행권의 가계대출 공급 증가액이 올해보다 줄어 연말에 이어 내년에도 대출 한파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내년에 가계대출 총량이 늘긴 하지만 경제규모가 더 성장할 것을 감안하면 대출 수요자들은 대출받기가 힘들어졌다고 체감할 수 있다. 이재명 정부가 가계대출 중심의 영업 대신 ‘생산적 금융’을 강조하고 있어 내년 가계대출 규모를 올해만큼 늘리기 부담스럽다는 분위기가 은행권에 팽배하다.2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금감원은 은행들로부터 내년도 연간 가계대출 경영계획을 내달부터 제출받아 취합할 예정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들이 내년도 경영사업계획을 12월 초에 확정하고 한국은행이 내년 GDP(국내총생산) 경상성장률을 내놓는 등 거시지표가 확정되면 그 수치를 토대로 내년 가계대출 총량 목표치를 설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각 은행은 내년에 가계대출을 얼마나 늘릴지 자체적으로 목표를 수립해 최고경영자(CEO) 확인을 받아 금감원에 제출해야한다. 금융당국은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