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4, 3, 2, 1, 누리호가 발사됐습니다.” 27일 오전 1시 13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4차 발사를 알리는 목소리가 울리자 일제히 환호성이 터져 나왔다. 시민들의 성원 속에 어두운 하늘을 가르며 날아간 누리호는 1단과 위성이 탑재된 3단을 감싸고 있던 페어링, 2단을 차례로 분리한 뒤 주탑재 위성인 ‘차세대 중형 위성 3호’를 성공적으로 사출했다. 이어 나머지 12기의 위성들도 순차적으로 내보냈다. 오전 1시 55분 남극세종기지 지상국에서 차세대 중형 위성 3호와 첫 교신까지 성공하자 우주항공청은 오전 2시 40분 누리호 4차 발사가 성공했음을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누리호는 앞서 1∼3차 발사 때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제작과 발사 과정을 주관했다. 그런데 이번 4차 발사는 처음으로 민간 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조립 등 제작 총괄을 맡았다. 이제 한국도 미국처럼 민간 주도로 우주 개발에 나서는 ‘뉴 스페이스’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