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고층 아파트에서 화재 참사가 발생하면서 고층 건물이 많은 한국의 상황은 어떤지 관심이 커지고 있다. 특히 1971년 당시 서울에서 두 번째로 높은(22층) 대연각 호텔 화재(사망 163명·부상 63명) 악몽을 경험한 한국으로서는 홍콩 고층 건물 화재가 ‘남의 일’이 아닐 수 있다.2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50층 이상 초고층 건물은 136동이다. 부산이 41동으로 가장 많고 서울(24동), 인천(23동), 경기(19동) 순이다. 최근 재건축 단지인 압구정 2∼5구역, 재개발 지역인 성수전략정비구역 등에서도 50층 이상 초고층 아파트가 추진되고 있다. 준초고층 건물로 분류되는 31∼49층 건물은 총 4620동이다.홍콩 화재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된 ‘대나무 비계(飛階·고층 작업용 가설물)’는 한국에서 사용되지 않고 있다. 한국 건설사들은 모두 철제 비계를 사용한다. 대나무 비계로 인한 화재 확산 위험은 없는 셈이다.한국의 고층 건물 화재 방지 기준은 대폭 강화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