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인수의향서 두 곳 제출... 공대위 "청산 막으려면 정부 개입 시급"

홈플러스 인수의향서 제출 마감일인 10월 31일, 두 곳이 인수 의향서를 제출한 가운데 홈플러스공대위는 "청산 위기를 막기 위해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강하게 촉구했다.

홈플러스 사태 해결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아래 공대위, 대표 박석운)는 이날 발표한 성명을 통해 "예상과 달리 인수의향서가 제출됐지만, 내용을 보면 실소를 금할 수 없다"며 제출 주체의 자격에 강한 의문을 제기했다. 공대위는 "한 곳은 연 매출 5억 원에 영업이익률이 -1000%에 달하는 회사이며, 다른 한 곳은 부동산 개발업자"라며 "인수할 능력도, 경영할 의지도 없어 보이는 무책임한 참여"라고 주장했다.

공대위는 이번 인수의향이 MBK파트너스의 '먹튀 시나리오'를 위한 형식적 절차일 가능성을 제기하며, 실질적인 사태 해결을 위해 정부의 개입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홈플러스 파산은 단순한 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노동자 2만 명과 납품업체, 입점업주 등 약 10만 명의 생계를 위협하는 일"이라며 "국산 농산물 유통망 20% 마비, 지역상권 연쇄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공대위는 "정부가 지금까지 어떠한 가시적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며 "전기가 끊기고, 임금이 체불되고, 농산물 유통이 중단돼야 움직일 것이냐"며 정부의 태도를 강하게 비판했다. "민간 기업의 일이라며 뒷짐만 지고 있는 것은 명백한 직무유기"라고 강조했다.

공대위는 정부에 대해 공공적 유통 주체가 인수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적·재정적 대책을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동시에 노동자 고용, 납품업체 보호, 지역상권 회복, 농민 생존권 보장을 위한 실질적 대응책 마련을 촉구했다.

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