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APEC 정상회의가 열린 경주에서 아시아·태평양 각국 활동가와 시민·노동·정당이 모여 'APEC 반대, 트럼프 반대, 민중 모두의 경제'를 외쳤다.
참가자들은 "APEC은 기업인 서밋에서 도출된 이해를 정부 간 결정으로 끌어올리는 구조"라며 "민중의 삶과 권리는 배제되어 있다"고 비판했다. 이보다 앞선 10월 30일에는 APEC CEO 서밋에 맞선 국제민중컨퍼런스가 열렸다.
(참고 기사 : 국제민중컨퍼런스)
① 세션1 - 세계화, 트럼프의 관세전쟁, APEC :
: 세계화의 약속은 불평등으로 돌아왔다② 세션2 - 다극화, 신냉전, 신파시즘 :
"신냉전의 시대... 전쟁보다 평화, 경쟁보다 연대해야"③ 세션3 - 대안, 사회운동, 진보정당 :
대안은 말하는 것이 아니라 '조직'하는 것"정상들의 회의가 아닌, 민중의 회의로"행사는 인도 출신 학자이자 트라이컨티넨탈 사회연구소 소장인 비자이 프라샤드(Vijay Prashad)의 대회사로 시작됐다. 프라샤드는 "APEC은 기업 서밋으로 시작해 정상선언으로 끝나는 구조이며, 그 어디에도 노동자·농민·빈민의 목소리는 없다"며 "이 회의야말로 진정한 APEC, 민중의 아시아·태평양 협력의 시작"이라고 강조했다.
"APEC이 말하는 '지속가능한 성장'과 '공동의 번영'은 공허한 수사에 불과합니다.
그들은 자본의 이익을 위해 모였지만, 우리는 사람의 삶을 위해 모였습니다.
우리가 세워야 할 것은 자본의 세계화가 아니라 민중의 세계화입니다.
이 자리에 모인 우리들은 여기서 노동자들의 에이팩을 만들 수 있도록 해 봅시다.저들의 에이팩이 아니라 노동자의 에이팩, 그리고 우리의 에이팩으로 만듭시다. Our APEC! 그리고 우리의 연대를!"
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의 명숙 활동가는 "극우정치가 혐오를 통해 연대를 파괴하고 있다"며 "APEC은 초국적 자본 번영의 협력체일 뿐, 노동·농민·빈민의 삶을 돌보지 않는다. 제국주의 질서와 가부장제, 신자유주의를 넘어서는 국제연대를 확대하자"고 호소했다.
국경을 넘어 울린 '민중의 연대'온라인과 현장에서 해외 인사들의 연대 발언이 이어졌다.
태국, 캐나다, 일본 등 아시아·북미 각국 활동가들은 "APEC 같은 밀실 협상은 자본의 의제일 뿐, 민중의 의제가 아니다"라며 "반제국주의와 노동·평화 연대를 통해 새로운 세계질서를 만들어가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태국의 사마이댕 퉁틴(Samaideng Tungtin)은 "팔레스타인 학살, 기후위기, 경제전쟁 모두가 제국주의 체제의 산물"이라며 "민중의 언어로 저항의 연대를 확대하자"고 호소했고, 캐나다 새롬 노(Sarom Roh, 변화를위한이주노동자동맹이주노동자 단체)는 "인도·태평양 전략을 명분으로 한 군사화와 노동착취를 중단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일본의 여성평화단체인 국제주의에 저항하는 국제여성네트워크 유카 카게야마 (Yuuka Kageyama)는 "군사력 대신 돌봄과 생명 중심의 안보로 전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