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의 숲을 연결하라

핵전쟁과 기후위기의 공통점은 한순간에 인류를 절멸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지구생태계 대부분의 종이 멸종 된다. 다른 게 있다면 기후위기에는 임계점이 있어서 경계를 넘어가면 돌아올 수 없다는 것이다. 수만 개의 핵탄두가 관리되는 건 인류가 원자폭탄의 끔찍한 파괴력을 직관(直觀)했기 때문이다. 히로시마, 나가사키의 비극은 70년이 지났는데도 기억이 바래지지 않는다. 핵전쟁 위험을 회피하는 시스템에 국제사회가 그렇게 공을 들이는 것도 시각화된 공포 때문이다. 기후위기는 지구에 미치는 피해 정도와 범위, 주어진 시간, 비직관성을 고려할 때, 핵전쟁보다 더 다루기 힘든 복합 위기다.

바다는 지구 표면적의 71%에 달한다. 지구 전체 탄소 가운데 약 90%가 바다에 저장된다.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30% 정도를 바다가 흡수한다. 기후위기 대응에 바다를 빼고 논할 수 없는 이유다. 그런데 바다의 64%에는 주인이 없다. 공해(公海)다. 모든 나라에 열려 있으며 소유국이 없다. 권리가 없음은 의무도 없음을 의미한다. 나머지 연안의 배타적 수역도 관리가 녹록지 않다. 인간이 발 딛고 사는 땅에 비하면 여전히 통제하기 어려운 곳이다. 우선은 소유가 명확하고 관리와 통제가 그나마 쉬운 육지를 생각해 보자.

육지는 지구 표면적의 29%이며, 이 중 30%는 숲이다. 육지 전체 탄소 가운데 70% 이상을 숲이 저장한다. 숲은 바다 다음으로 큰 탄소 저장소다. 기후 이상 변화와의 싸움에서 승리하기 위한 전략적 요충지다. 숲은 나무, 풀, 곤충, 동물, 물, 토양 등이 어우러진 완전한 탄소 생태계다. 평지가 식량을 제공한다면 산림은 탄소를 받아서 가두고 우리가 호흡할 수 있게 산소를 만들어 낸다. 물을 품고 있다 내어 주고 흙을 붙잡아둠에 따라 사회 기반 시설이 유지될 수 있게 한다. 그 안에서 위안을 받고 치유가 되는 건 덤이다.

대한민국은 국토의 63%가 숲이다. 한반도 전체로 봐도 비슷한 비율이다. 남과 북 모두 산악국가로서의 지형적 특성을 공유한다는 말이다. 전략적 중요성 또한 마찬가지다. 지난 경과를 놓고 보면 남과 북이 대조적인 길을 걸어 온 건 사실이다. 남쪽에서는 대대적인 '산림녹화' 정책이 성공하여 온전한 숲 형태를 이루게 되었다. 반면 북쪽에서는 연료 부족에 따른 땔감 용도로 대규모 벌채가 진행되어 황폐한 숲이 되었다. 한때 북의 심각한 식량 부족 현상이 홍수에 따른 산림의 토양 유실로 농경지가 급격하게 줄었기 때문이라는 게 거의 정설이다.

남쪽의 산림녹화가 어느 정도 결실을 거두었다고는 하나 그 숲이 지금 건강한지는 따져 볼 일이다. 미래에 괜찮을지도 살펴봐야 한다. 워낙 폐허 위에서 시작한 터라 우리 숲의 95%는 인공조림이다. 나무심기 운동이 한창일 때와 그렇지 않은 때가 달라 나무 수령대가 집중되어 있다. 나무 종류도 소나무가 과다 분포되어 있다. 나무가 부실해진다는 건 그곳에 서식하는 생물과 물과 토양에도 문제가 생긴다는 의미다. 성공 신화에 젖어 있을 때가 아니다. 북쪽도 뒤늦게나마 숲의 가치를 인식하고 정부 차원에서 산림녹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한다. 상당한 성과를 내고 있다고 한다. 반가운 일이다.

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