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노동자에게 안전하고 건강하게 일할 권리 보장하라"

IE003450227_STD.jpg

올해 첫 법정기념일로 지정된 4월 28일 '세계 산재노동자 추모의 날'을 맞아 대전지역 노동계와 시민사회가 모든 노동자의 안전하고 건강하게 일할 권리 보장을 촉구하고 나섰다.

민주노총대전지역본부와 중대재해없는 세상만들기 대전운동본부는 28일 대전지방고용노동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모든 노동자의 안전하고 건강할 권리 차별 없이 전면 적용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에 따르면, 4월 28 세계 산재노동자 추모의 날은 1993년 태국 인형공장 화재로 사망한 188명의 노동자를 추모하기 위해 전 세계 여러 나라가 기념일로 지정하여 지키고 있다. 우리나라는 산재 피해자와 노동계의 투쟁 30년 만에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었으나 여전히 한해 2400여 명의 노동자가 산재로 사망하고 있다는 것.

뿐만 아니라 한해 15만 명 이상의 산재 승인자와 산재 은폐가 만연한 말 그대로 '산재공화국'이라고 이들은 규정하면서, 산재노동자 추모의 날을 맞아 형식적 추모에 그칠 게 아니라 산재노동자 투쟁 정신을 계승하여 노동자의 안전할 권리를 보장하는 '작업중지권'과 노동자 참여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을 쟁취하자고 결의했다.

이날 기자회견은 산재 사망 노동자를 추모하는 묵념으로 시작됐다.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한 손에는 흰 국화를 들고 다른 손에는 '위험작업 당장 멈춰', '중대재해처벌법 엄정집행 전면적용', '죽은자를 추모하고 산자를 위해 투쟁하라', 모든 노동자의 안전할 권리' 등의 문구가 적힌 피켓을 들었다.

"내란이 종식 안 된 것 처럼, 윤석열표 생명안전 후퇴는 현재 진행형"

IE003450228_STD.jpg

이들은 이날 발표한 기자회견문을 통해 "노동자, 시민의 투쟁으로 윤석열을 파면시킨 4월의 봄. 그러나 사고로, 과로로, 직업병으로, 자살로, 노동자 죽음의 행진은 끝이 없다"며 "내란이 종식되지 않은 것처럼 윤석열표 생명안전 후퇴 개악은 현재 진행형"이라고 개탄했다.

이어 "23명이 사망한 아리셀 화재 참사 책임자 박순관 대표는 감옥에서 나와 거리를 활보하고, 피해자 유족들의 투쟁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면서 "'죽은 자를 추모하고, 산자를 위해 투쟁하라'라는 4월 28일 세계 산재사망 노동자의 날 정신은 오늘도 한화 오션 거통고 고공 농성, 학교급식 폐암 대책을 요구하는 농성 등 전국 곳곳에서 투쟁 속에 살아 있다"고 강조했다.

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