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최대 6만 원 보상금은 부족, 실질적 군소음 피해 대책 마련해야"

ME000113496_STD.jpg

충남도의회 군소음 피해지역 지원 특별위원회 이용국 위원장은 '군소음 피해지역 지원 특별위원회'의 활동 기간이 얼마 남지 않은 게 아쉽지만, 짧은 만큼 최선을 다해 군소음 피해 주민들의 아픔을 어루만지겠다고 다짐했다.

이어 충남 지역 보령, 아산, 서산, 논산, 태안 등 5개 시·군 22개 읍·면·동의 주민들이 소음피해에 시달리고 있는 이상 다음 도의회에서도 특별위원회의 활동은 꼭 이어질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 위원장은 현장에서 주민의 목소리를 최대한 자주 들을 것이라 했다. 행정기관이나 정치인 등이 가끔 때가 돼서 생색내듯 접촉해서는 아무런 효과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실제 피해 수준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보상금액과 소음 기준의 완화 등 제도 개선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는 이용국 위원장을 지난 1일 만났다.

"피해 수준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보상금액, 삶의 질 향상 복구해야"

- 지난 9월 충남도의회 '군소음 피해지역 지원 특별위원회'가 공식 출범했다. 앞으로 어떤 역할을 할 계획인가?

"군소음 피해는 국가안보를 이유로 수십 년간 외면되어 온 문제다. 이번 특별위원회는 이러한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범했다. 특위는 피해지역 주민들의 실질적인 피해 보상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앞으로 현장 방문, 간담회, 토론회 등을 통해 주민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중앙정부 및 국방부와의 협의를 통해 제도 개선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충남도가 추진 중인 '군소음 피해지역 상생협의회'와 긴밀히 협력해 지역 맞춤형 지원사업과 예산 확보에도 힘쓰겠다."

- 충남지역의 군소음 피해 상황이 궁금하다?

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