밴드 음악이 나오면 신나게 깃발을 흔드는 이가 있다. 동지들은 "밴드휀걸 신났네"하며 웃는다. 밴드휀걸(만24세, 여, 대학생, 화성시)은 그들을 웃게 하기 위해서라도 몸을 더 흔든다.
"이때 아니면 우리가 언제 서울 한복판에서 노래를 하고 깃발을 흔들겠어요. 마치 록페스티벌처럼 즐기는 거죠."
같은 목적을 가진 이들이 모여서 다 같이 노래 부르고 소리 지르는 것이 광장과 록페의 공통점 아니던가. 대체로 혼자 간다는 것도 공통점 중 하나다. 그곳에 가면 우리는 동지가 된다. 서로 물을 건네고 간식을 건네고 사진도 찍어준다. 코노(코인노래방) 비용으로 후원한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불의로 가득한 세상에 고함이라도 질러야 답답함이 해소된다는 거지 진짜 신난다는 건 결코 아니다.
대표적인 공대생 밴드'페퍼톤스'를 따라 밴드휀걸은 화학공학과를 선택했다. 페퍼톤스가 공대에 대한 심리적 장벽은 낮춰주었지만 학점의 장벽은 해결해 줄 수 없어 그는 계속 졸업을 유예 중이다. 그는 꼭 대학원에 가고 싶어서 열심히 공부하고 있는데, 계엄이 터져버렸다. 개인이 애써 일구는 일상을 국가의 이름으로 툭, 엎어버릴 수 있다는 사실에 그는 허망함이 앞섰다. 그날 그는 기말고사 공부를 하다가 거의 마지막 버스를 타려고 도서관에서 나왔다. 엑스(트위터)에서 계엄이라는 소식을 보고 놀라 버스를 놓쳤다. 다행히 막차를 타고 집에 올 수는 있었지만 버스 정류장에서 느낀 공포와 분노가 생생하다.
당시 그는 택배분류알바를 하고 있어서 오전 7시까지 출근하려면 6시에는 일어나야 했다. 그런데도 잠을 자지 못하고 당장 국회로 가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했다. 무단결근을 하면 바로 잘릴 테고 먹고살 일이 막막하다. 그런데도 신변의 위협이 느껴질 만큼 불안해서 트위터를 보고 또 보았다. 누구라도 이야기 나눌 사람이 있었다면 조금 나았을까.
"국회 라이브를 계속 보는데 행여 총소리가 울리면, 누군가가 죽으면, 그 장면을 보고 내가 제정신일 수 있을까 두려웠어요. 근데 안보는 게 더 무서워서 계속 봐야만 했죠. 제발, 제발 하면서."
그는 수많은 알바를 전전하며 부당한 대우를 받은 탓에 정치에 관심이 없지 않다. 글쓰기 과제로 '주 120시간 망언과 포괄임금제'에 대해 썼을 정도다.
"큰 거 바라지도 않아요. 주휴수당이나 제대로 챙겨주면 좋겠어요. 500원 더 줘놓고 최저보다 더 챙겨줬는데 주휴수당도 줘야 하냐는 말을 할 정도로 너무 야박해요."
그는 '밴드휀걸' 이전에 오랜 2D덕후로서 <룬의 아이들> 등 정치투쟁에 관한 판타지소설을 읽어온 덕분에 혁명과 정치체제의 대립 같은 말들이 낯설지 않다. 얼마 전 전민희 작가가 인스타에 '마감 치고 집회 나왔다'는 글을 쓴 걸 보고 "짱이다, 저렇게 살아야지" 다짐했었다.
그래도 집회는 처음이다. 그의 부모는 80년대 운동권 출신인데 딸이 정치를 너무 외면한다고 타박했었다.
"세월호와 이태원을 겪은 세대인데 어떻게 정치를 외면하겠어요. 세월호 때는 중학생이었는데도 구조자 명단을 계속 실어 나르는 계정을 하루 종일 클릭했었어요. 한 명이라도 더 늘어나는 걸 보고 싶어서. 이태원 사건은 또래들이고 더구나 같은 학교 학생도 있었으니까 아주 가까이에서 느꼈죠. 세월호가 재현되는 거 같아서 너무 괴로웠어요."
오히려 너무 정치적인 시대를 살아서 정치적 압박이 큰 게 아닌가 싶다. 커뮤니티 등에서 정치 이야기는 절대 못하게 하는 식으로.
그는 12월 14일부터 광장에 나오기 시작했다. 첫 주에는 오래전부터 잡혀있던 덕후 행사가 있어서 나올 수가 없었다. 코스프레를 하기로 되어있어서 그 추운 날 슬리퍼를 신고 나왔다. 행사가 끝나고 '국민의힘' 의원들이 투표에 불참했다는 말을 듣고 그때라도 달려가려 했더니 친구들이 말렸다. 슬리퍼 차림으로는 얼어 죽는다고.
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