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여성·소득감소자 '코로나 우울' 위험

IE003001996_STD.jpg?20220603124606
 
코로나로 인한 우울·불안 등 정신건강 위험도가 지난 2년 간 꾸준히 완화되고 있지만 코로나 이전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정부 당국은 코로나 기간 소득이 감소한 집단의 우울 정도가 높고 최근 40대의 우울위험군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는 3일 오전 서울정부청사에서 정례브리핑을 열고 올해 1분기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는 보건복지부의 의뢰를 받아 2020년 3월부터 분기별로 전국 성인 2063명을 대상으로 하는 정신건강실태를 조사 중이다.
 
우울위험군과 자살생각률 모두 지난해 4분기보다 떨어졌으나 코로나 전보다는 상당히 높은 위험도를 유지했다. 올해 1분기 우울위험군은 전체 조사대상 중 18.5%다. 지난해 4분기 18.9%, 1분기 22.8%보다 감소했고, 코로나 유행 전인 2019년 3.2%보단 15.3%p 가량 높다.
IE003001997_STD.png?20220603124703
 
우울 위험은 소득이 감소한 집단에서 높았다. 소득이 감소한 응답자 중 22.7%가 우울위험군에 포함됐고, 그렇지 않은 경우엔 16.7%가 우울위험군으로 나타났다.
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