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의 회생계획안 제출 마감일(11월 10일)이 임박하면서 각계에서 정부의 즉각적 개입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회생 절차 개시 후 8개월이 지난 지금까지도 인수 주체가 확정되지 않은 가운데, 기업 청산 가능성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노동계, 농민단체, 시민사회, 정치권까지 나서 연일 성명을 발표하며 정부에 공적 책임 이행을 압박하고 있다.
홈플러스는 기업회생 전 126개 점포 중 3곳이 이미 폐점했으며, 여전히 123여 개 점포가 영업 중이다. 이곳에서 직접·간접 고용된 인력은 10만 명에 달하고, 협력업체와 입점업체, 납품업체 종사자까지 합치면 최대 수십만 명의 생존권이 연결돼 있다. 
또 홈플러스는 연간 2조 원 규모의 농축산물 유통을 산지직거래 방식으로 운영해 왔고, 농어가가 주요 납품처로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청산 시 발생할 연쇄 피해는 단순한 기업 하나의 도산을 넘어선다. 실업대란, 지역경제 공동화, 중소상공인 몰락, 유통 공백, 농가 생존기반 붕괴, 국민연금 손실까지 복합적 재난이 예고된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은 10월 24일 성명에서 "MBK는 홈플러스의 경영위기를 초래한 책임을 외면하고 있으며, '펀드 운용자'라는 명분 뒤에 숨어 사태를 방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지금이 회생의 마지막 고비"라며 "공적 매각, 공기업 참여, 산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의 개입을 포함한 전면적 대책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노총은 "홈플러스 회생은 기업 생존의 문제가 아니라 국민경제와 노동자 생존권 보호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