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참전 육사생도 "홍범도함 이름도 바꾼다? 일본 거부감 고려했나"

IE002461565_STD.jpg?84
 
"일제강점기 당시 공산당은 남북 분단 이후 우리가 알고 있는 공산당과 근본적으로 다르다. 그때의 역사적 배경을 모르는 사람들이 홍범도 장군의 공산주의 이력을 문제 삼아 비판하고 있다."

육군사관학교(육사) 교정에 있는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이 본격화한 가운데, 박경석(91) 장군이 윤석열 정부와 국방부의 역사의식 부족을 지적하며 한 말이다. 1일 <오마이뉴스>의 전화 인터뷰에서 박 장군은 "역대 모든 정부에서 홍 장군을 독립유공자로 추앙했고 국가훈장도 추서했다"며 "그런데도 홍 장군을 표적삼아 (홍범도함) 함명마저 고치겠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걸 보면 일본의 거부감을 고려한 발언으로 풀이될 수밖에 없다"라고 주장했다.

박 장군은 6·25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서 야전을 누빈 육군 예비역 준장이다. 1950년 6월 1일 열일곱의 나이로 '육군사관학교 생도 2기'에 입교한 박 장군은 3주여 만에 6·25 전쟁이 터지는 바람에 임관도 하지 못한 채 전장에 투입됐다. 동기 330여 명 중 86명이 사망한 포천 전투에서 박 장군은 목숨을 건졌지만, 수류탄 파편에 몸 왼편을 크게 다치며 왼쪽 고막을 잃었다.

30년 군생활을 마치고 전역한 그는 87권의 저서를 집필한 작가이자 국군 창설 초기 친일파와 독립군 항쟁사를 연구해온 군 역사 연구자이기도 하다. 특히 그는 일제 만주군 간도특설대에 복무하며 조선인 독립군을 토벌하는 데 앞장선 백선엽 장군의 '친일 행적'을 추적해왔다.

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