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렸을 때 못 누린 로망, 어른 된 뒤 내 월급으로 실현”
“어릴 적 갖고 싶었는데 부모님이 안 사셨던 장난감, 이젠 제 월급으로 삽니다.” 직장인 이동하 씨(27)는 로봇 프라모델을 모은다. 2007년 초등학생 시절 애니메이션에서 본 ‘트랜스포머 1’ 속 캐릭터를 지난해 영화관에서 재회한 뒤 다시 푹 빠졌다. 이 씨는 “그때는 부모님께 졸라 겨우 하나씩 샀다”며 “이젠 열심히 일해서 번 월급으로 ‘내돈내산’ 한다”고 뿌듯하게 웃었다. 이렇듯 2030세대의 ‘노스탤지어(nostalgia·향수)’는 공주 콘셉트 촬영과 같은 ‘경험’에서 그치지 않고 ‘실물 소비’로도 이어지고 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아동학과 교수는 “2030세대가 어린 시절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장난감이나 굿즈 등을 소비하며 개성을 드러내면서도 마음의 위안을 얻고 있다”고 분석했다. 최근 20, 30대 젊은층 사이에서 불고 있는 ‘캐치! 티니핑’ 열풍도 이런 현상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4∼6세 아동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는 아동용 애니메이션 캐릭터들에 ‘어른이(어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