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림청의 산불 지휘권을 소방청에 이관하면 산불 예방, 진화, 복구 과정이 합쳐진 복합적 재난 대응 체계가 분절되고,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이 약화 될 것이란 우려가 나왔다. 동시다발적 대형산불에 대응하기 위해서 산림 당국이 범부처 차원의 통합적 지휘권을 갖고, 나무 솎아내기 등으로 산불에 강한 숲 구조 전환을 주도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13일 한국산림과학회가 발표한 ‘2025년 대형산불 분석 및 개선 대책’에 따르면 3월 영남권을 할퀸 산불은 사망자 31명을 포함해 총 82명의 인명 피해를 냈다. 재산 피해는 1조818억 원이었고, 약 10만4000ha(헥타르) 산림이 불에 탔다. 최명석 한국산림과학회 부회장은 “고온 건조한 날씨에 강한 바람까지 더해져 당시 산불 확산 속도는 시속 8.2km에 달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 대형산불 때 산림청의 자원 동원 권한이 ‘협조’ 수준에 머물러 있어 실제 대형산불 발생 시 범부처 차원의 통합적인 지휘와 신속한 동원이 어려웠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