곳곳 '위안부' 기림 물결 ... "일본정부 사과 위해 연대"

IE003509438_STD.jpg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기리는 행사가 경남지역 곳곳에서 펼쳐졌다. 광복 80년을 맞아 창원, 진주, 통영, 양산의 시민사회단체에 이어 창원시와 거제시도 '기림의 날' 기념식을 열었다.

경상남도교육청은 양산도서관을 별칭으로 '김복동평화도서관'이라 부르기로 하고, 이날 현판 제막식을 했다. 기림의날은 1991년 8월 14일 고(故) 김학순 할머니가 처음 피해 사실을 공개 증언한 날을 기념해 제정된 국가기념일로, 올해로 13번째다.

[진주] 추모와 기억연대를 위한 기림행동

일본군 '위안부' 강제 성노예 피해자 진주평화기림사업회는 이날 진주교육지원청 대강당과 뜰에 있는 평화기림상 앞에서 기림 행사를 열었다.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에 대한 추모와 기억연대를 위해 기림행동과 헌화를 한 것이다.

강문순 진주평화기림사업회 공동대표는 "윤석열 정부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 운동은 정말 많은 어려움을 겪었고 일본정부와의 일방적 합의에서부터, 최근 역사부정세력의 교육 침투까지 우려스러운 일이 많았다"라며 "하지만 광복 80주년, 이제는 정의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 피해자들과 우리 역사를 바로세우기 위해서라도 새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줄 것을 부탁한다. 시민들께서도 함께해주시길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정미수 학생(경상국립대)은 '할머니께 드리는 편지'를 낭독하면서 "피해자의 아픔을 잊지 않고 포기하지 않는, 끝까지 연대하는 우리의 힘을 믿는다. 전쟁없는 그 날, 평화로운 그 날이 올 때까지 연대하고 투쟁하겠다.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기억하겠다"라고 이야기했다.

서도성 전 진주평화기림사업회 대표는 "식민지 근대화론을 말하는 자들이 우리나라 꼭대기에 위치하고 있다. 해방 이후 일제의 잔재를 청산하지 못했던 것이 지금까지 왔다"라며 "저들이 역사를 왜곡하고 있지만, 우리는 이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기억하고 행동할 것이다. 역사정의를 위해 시민 여러분, 함께 노력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진주평화기림사업회는 성명을 통해 "일본정부는 범죄사실을 공식인정하고 사죄하며, 법적 배상과 재발방지 약속을 이행하라. 이재명 정부는 공약한 '과거사 문제 해결 노력'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인권침해·명예훼손 행위 금지 및 처벌 근거를 마련하라. 또한 피해자들의 증언과 자료를 다음세대에 계승하는 국가 차원의 역사교육 정책을 수립하라"고 요구했다.

IE003509437_STD.jpg

[창원] 다짐비 건립 10주년 기념 시민대동문화제 열어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와 함께하는 마산창원진해시민모임(대표 이경희)은 이날 늦은 오후 창원마산 오동동문화광장에서 '기림일, 인권자주평화다짐비 건립 10주년 기념 시민대동문화제'를 열었다.

김지성 전교조 경남지부장이 대회사, 박종훈 교육감이 기념사에 이어 이경희 대표가 '다짐비 10주년 의미와 과제'에 대해 말했다. 축원마당 공연에 이어 '단숨줄놀이' 등 대동한마당이 벌어졌다.

마창진시민모임은 "2025년 8월은 을사늑약 120년, 광복 80년, 인권평화자주다짐비 10주년의 해로 시민 대동놀이 한마당의 장으로 만들 것"이라고 했다.

이들은 "윤석열 정권은 굴욕과 눈치보기에 급급하여 일본군 '위안부' 역사 해결이 뒷걸음쳤다"라며 "반면 일본 정부는 어느 때보다 국제사회에서 역사왜곡과 소녀상철거 압박의 횡포를 부리고 있다"라고 했다.

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