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임금인상이 문제야?' 트럼프 관세에 돌변한 회사들

IE003513994_STD.jpg

울산 지역의 자동차·철강 산업 현장은 지금 '트럼프 관세'라는 거대한 파고에 직면해 있다.

먼저 자동차 부품을 제조·수출하는 A사는 지난 5월 임금교섭 상견례 자리에서부터 사용자 측이 선제적으로 "올해 협상이 녹록지 않을 것"이라고 공언했다. 상반기에만 100억 원의 적자가 발생했고, 하반기에도 같은 규모 이상의 적자가 예상된다며 어려움을 강조한 것이다.

더 나아가 대미(對美) 자동차 부품 수출에서 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관세가 낮은 국가로 국내 공장의 프레스 라인을 이전할 수 있다는 가능성까지 내비쳤다. 이는 사실상 국내 공장 구조조정을 예고하는 발언이었다. 노동자들에게는 임금 동결이나 삭감 압박을 넘어, 일자리 자체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신호였다.

고용 안정조차 위태로운 현실

비슷한 상황은 또 다른 자동차 부품 수출업체 B사에서도 나타났다. 임금교섭 국면에서 사용자 측이 먼저 고용안정위원회 개최를 제안한 것이다. 이는 단순히 협의체 운영의 문제가 아니었다. 트럼프 관세로 인한 적자 폭이 확대되면서 향후 조합원들의 고용 안정 문제를 협상 테이블에 올려놓겠다는 의도였다. 사실상 교섭의 주제를 '임금'에서 '고용 유지'로 전환하려는, 즉 위기 국면을 빌미로 협상 의제를 선점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철강 제조업체 C사의 상황도 심각하다. 이 회사는 송유관 생산량의 60%를 미국으로 수출하는데, 미국이 한국 철강에 부과할 50% 관세가 확정되기 전까지는 관세 인하 가능성에 기대를 걸며 신규 수주를 사실상 멈춘 상태다. 그러나 현실은 냉혹했다. 생산 물량이 줄어들자 회사는 대·중·소 송유관 생산 설비에 대해 순환 휴직과 전환 배치를 시행하며 버티고 있다. 이는 고용 불안이 이미 현실로 다가왔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울산 지역의 대형 기업뿐 아니라 다수의 중소 자동차 부품 업체들 역시 사정은 다르지 않다. '트럼프 관세 폭탄'으로 인한 수출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인데도, 대부분의 업체는 뚜렷한 대응책조차 마련하지 못한 채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현장의 불안은 커져만 가고, 노동자들은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고용 불안과 생계 위협 속에서 불안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

한국 자본, 미국에 쏟아붓는 투자

트럼프의 막가파식 경제 수탈로 우리 노동자들은 삶과 미래가 송두리째 흔들리고 있다.

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