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정부가 2026년에 낙동강 취양수시설개선 사업 예산안으로 380억 원을 책정했지만, 4대강 재자연성 회복을 위해서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경남환경운동연합, 낙동강경남네트워크는 17일 오후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언제까지 청산가리 6600배의 낙동강 녹조 독에 국민을 방치할 것인가?"라며 "이재명정부는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국정과제 낙동강자연성회복 전제조건 취양수시설개선 사업비 2026년 전액 확보하라"라고 촉구했다.
녹조는 주로 물 흐름이 없이 정체되면 발생한다. 이명박정부 때 4대강사업으로 낙동강에 8개의 보가 생겨 물이 정체되면서 녹조가 창궐하고 있다. 환경단체는 보 수문을 열어 물이 흐르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보 수문 개방을 위해서는 4대강사업에 위치를 올려 놓은 취·양수시설을 낮추는 개선을 해야 한다. 문재인정부 때 일부 취·양수시설 개선사업이 추진되다가 윤석열정부 들어 중단됐다.
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