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은 먹어야 산다

건물 내 사내식당이 문을 열면 제일 먼저 입장하는 어르신이 계시다. 직장인들이 몰리는 12시 보다 이른 11시 30분에 미리 자리를 잡고 식사하시는데, 음식을 양껏 담아서 여유롭게 드신다. 사람들이 한꺼번에 들어와 왁자지껄 혼잡해지기 전이라 테이블을 혼자 차지하고 있어도 덜 미안하다. 후식으로 과일까지 들고 나서 자리를 떠도 12시가 넘지 않는다.

스포츠 모자를 눌러써서 뒤에서 보면 젊은 스타일이지만, 돋보기안경의 두께와 얼굴의 주름을 확인하면 일흔은 훌쩍 넘은 어르신임을 한눈에 알게 된다. 오전 10시경이면 이미 사내식당 주변을 활보하시는데 공원 벤치에 앉아 계시거나 편의점 앞 또는 근처 회사 건물들 사이의 휴게 공간에서 시간을 보내고 계신다. 미루어 짐작해 보면 그분은 이 점심 식사 한 끼를 위해 이른 아침부터 의복을 잘 차려입고 나와 주변을 서성이는 것이다.

어떤 때는 식사를 마치고 나서 남은 음식을 비닐봉지에 담아 자리를 뜨시는데 이것이 남은 하루를 지탱하는데 쓰일 양식일지도 모른다. 아침 식사를 하고 나오시는 지, 저녁은 잘 차려 드시는지 이것이 유일한 하루의 한 끼 인지는 알 수 없지만 비용을 지불하고 사 먹는 이 음식이 그분을 살아가게 하는 중요한 원천임은 분명하다.

늘 혼자이신 것을 보면 아내와 사별했을 수도 있고 아니면 아픈 상황일 수도 있겠다는 추측을 해본다.

퇴근 시간이 가까워 오는 오후 5시엔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에 기다란 줄이 늘어선다. 오후 4시면 벌써 길 위에 가방과 돗자리 종이박스가 일열로 늘어서 사람을 대신해 줄을 서는데 이는 무료급식을 위한 표시다. 배식을 기다리는 분들은 대개 연세가 지긋하신 남녀 어르신이고 간혹 젊은 사람들과 노숙인 행색의 추레한 사람들이다.

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