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들, 중국인 만나면 춤추며 도망치라는 황당한 얘기도..."

IE003543909_STD.jpg

[관련기사] "'토끼풀' 백지 발행, 70년대 '동아일보' 백지 발행 참고했죠" https://omn.kr/2fx3t

- 청소년 언론을 또래의 청소년들이 바라보는 시선은 어떻다고 느끼나요?

문성호: "'왜 학교랑 싸우냐'는 말을 듣기도 해요. 사실 우리가 받는 교육 자체가 본인 의견을 내지 말라고 가르치니까 자연스러운 귀결 같기는 합니다. 'MBC 나오면 좌파 아니냐'는 얘기도 여기저기서 많이 나왔을 정도니까요. 사실 조금 억울하긴 해요. 저희는 우리 모두를 위해 활동을 하는 거기도 하거든요."

- 청소년의 말할 권리가 학교에서 여전히 보장받고 있지 못하다는 게 씁쓸한데요,

문성호: "아직도 학교에는 문제가 많습니다.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연대를 해주셨는데, 연령대가 10대부터 70대까지 다 있어요. 본인이 학교 다닐 때 했던 경험을 왜 2010년생들도 하고 있는지 의문을 가진 분들이 많죠. '1980년대에 학교를 다녔는데 아직도 이런 걸 당하고 있냐'는 말씀이 인상에 많이 남네요.

조준수: "그냥 전반적으로 목소리를 내는 일을 잘 보장해주진 않는데, 정작 또래 학생들끼리는 '노무현 밈'을 가지고 고인 모독을 하고, 중국인 혐오발언을 하는 게 스스럼없는 분위기가 있어요. 정치가 세상을 좋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수단이 아니라 하나의 놀이거리로 전락했달까요. 극우화가 전반적으로 심해지는 느낌이지만 10대 사이에서는 더 심한 것 같아요."

- 청소년이 자유롭게 말할 수 있는 권리가 극우화 되는 분위기 때문에 위협 받고 있다는 거군요. 학교에 있으면서 직접 겪기로는 어떤가요?

조준수: "청소년에게 극우 사상이 침투하는 데 있어 SNS의 영향이 확실히 크다는 생각이 들어요. 정치 관련 콘텐츠를 구독하지 않아도 알고리즘이 정치 콘텐츠를 추천해주면 결국 호기심이 생길 수밖에 없잖아요. 우리 일상 곳곳에 이런 위험들이 깔려 있다는 걸 깨닫고 충격을 받은 적이 있어요."

문성호: "요즘 인스타그램 스토리를 보면 중국인들이 실제로 장기 밀매를 한다는 얘기가 퍼지면서 학생들도 그걸 믿는 분위기에요. '아무나 따라가지 말고 누가 전단지 줘도 납치될 수 있으니 받지 마라' 이런 얘기뿐만 아니라 중국인을 만났을 때는 이런 춤을 추면서 도망쳐야 한다는 어이없는 얘기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것 같아요."

-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학교의 역할이 클 것 같은데요.

문성호: "학교에서 정보를 비판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게끔 교육을 어릴 때부터 해야 하는데, 그런 것보다는 입시 공부 위주고 선생님들도 이런 얘기를 하는 걸 굉장히 꺼리세요. 그냥 정치적인 것은 안 돼 하는 식인 거죠. <토끼풀> 같은 매체도 읽으면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도 받아야 하는데(웃음) 전반적으로 시민으로 성장하기 위한 교육을 받을 창구 자체가 없다고 느껴요."

조준수: "그렇게 균형이 기울어져 가다 보니까 그런 세상에 대해 의구심을 가지는 사람이 별로 없다는 생각도 들어요. 익숙해지고 나면 극단적인 사상을 가진 사람을 봐도 아무 감정을 못 느끼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 <토끼풀> 활동을 하면서도 이런 분위기를 많이 느끼시나요?

김서영: "누군가 제 책상에 <토끼풀>을 장난으로 찢어서 올려둔 경우도 종종 있어요. 근데 저희는 이런 상황이 너무 익숙해서. '좌파 신문' 딱지를 붙이는 건 예삿일도 아니죠."

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