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여 쌍북리 일대에서 백제 사비기의 사찰 흔적을 보여주는 유물이 확인됐다.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는 부여군과 함께 지난 6월부터 7월까지 충남 부여 쌍북리 일대에서 ‘부여 관북리유적 18차 유구분포조사’를 실시했다고 28일 밝혔다.연구소는 “쌍북리가 관북리와 함께 백제 사비기의 핵심지역이었음을 보여주는 성토층과 사찰 관련 유물이 확인돼, 이 지역에 사찰이 존재할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사비기는 백제가 수도를 사비(현 충남 부여)로 옮긴 뒤 맞이한 시기로, 백제의 최후 전성기에 해당한다.이번 조사에서는 부소산 끝자락과 연접한 3-1구역(30,523㎡) 북쪽에서 풍화된 암반층 위에 인위적으로 약 1m 높이로 흙을 켜켜이 쌓은 성토층이 확인됐다. 이는 백제에서 왕궁 등 주요 건물을 세울 때 사용된 전형적인 수평성토 판축 기법으로, 이 일대에 중요 건축물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현재까지 부여에서는 관북리유적과 부소산성에서만 확인된 기법이다.또한 조사지역 남쪽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