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의 외부에서 역관과 서얼 같은 중간계층은 양반 사대부보다 더 주도적으로 지식과 정보를 생성하고 전파하는 데 앞장섰어요. 하지만 사대부가 그 지식을 외면하거나 자기중심적 해석에 가두면서 제대로 유통되지 못했던 것이 문제였습니다.” 조선 후기 지식 정보의 생성과 유통을 문화사회학적으로 조명한 책 ‘지식과 조선’(성균관대 출판부)을 최근 펴낸 진재교 성균관대 한문교육과 교수(64·전 동아시아학술원장)는 지난달 30일 연구실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이렇게 강조했다. 이번 책에서 진 교수는 조선 후기 지식의 주요 유입 경로인 사행(使行)에 주목했다. 실록엔 1631년 명나라에 사신으로 갔던 정두원(1581∼1642)이 돌아와 천리경(망원경)과 서포(西砲), 자명종 등 서구의 물건을 대거 바쳤다고 나온다. 그는 명에 와 있던 로드리게스 신부(1559∼1663)를 만나 신식 화포 같은 물건을 얻었다. 하지만 진 교수에 따르면 신부와의 만남을 주선했을 뿐 아니라 그와 더욱 깊이 교류했던 건 역관